분과학문이란 이름의 지적·제도적 장벽에 구애받지 않고 융·복합적연구를 수행해왔다. 일산 정발학연鼎鉢學硏과 제주 산귤재山橘齋를 오가면서 자료 더미에 파묻혀 해양 인문학과 해양 문명의 원형질을 탐구한다. 민속학, 인류학, 역사학, 고고학, 해양학 등을 바탕에 두고, 아시아퍼시픽은 물론이고 전 세계의 연안과 대양으로 시야를 넓혀가며 해양 문명사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그가 꿈꾸고 성찰하는 ‘인문의 바다’는 자신의 학문에 활력을 불어넣는 동력이자 경외하는 태반이다. 이번에 쓴 『환동해 문명사—잃어버린 문명의 회랑』은 동해를 둘러싼 문명의 부침과 교섭에 관한 오랜 사유의 결과이다.
아시아퍼시픽해양문화연구원(APOCC) 원장, 제주대 석좌교수, 해양수산부 총괄정책자문위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해양 전문지 『The OCEAN』, 아시아퍼시픽해양문화연구원의 해양문화 전문지 『해양문화』의 편집주간을 맡고 있다. 제주 산귤재에서 매월 ‘인문의 바다’를 열고 있으며, 중국ㆍ일본ㆍ대만 등이 참여하는 아시아퍼시픽국제해양문화 콘퍼런스를 이끌고 있다. 경희대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고, 고려대 문화재학 과정에서 두 번째 박사과정을 마쳤으며, 한국역사민속학회장, 여수엑스포 전략기획위원, 문화재전문위원 등을 거쳤다.
바다와 관련하여 『유토피아의 탄생』, 『적도의 침묵 - 해양문명의 교차로, 적도태평양을 가다』, 『제국의 바다 식민의 바다』, 『등대』, 『관해기 1ㆍ2ㆍ3』, 『돌살 - 신이 내린 황금그물』, 『독도견문록』, 『조기에 관한 명상』, 엑스포 3부작 『세계박람회 1851~2012』, 『OCEAN EXPOLOGY』, 『상하이 세계박람회』를 펴냈다. 그 밖에 『두레 - 농민의 역사』, 『우리 문화의 수수께끼 1ㆍ2』, 『제주기행』, 『100가지 민족문화 상징사전』, 『왼손과 오른손 - 좌우 상징, 억압과 금기의 문화사』, 『북한의 우리식 문화』, 『21세기 우리문화』, 『한국민속학연구방법론비판』, 『마을로 간 미륵 1ㆍ2』, 『북한의 민족생활풍습』, 『굿의 사회사』, 『북한민속학사』 등을 펴냈다. 번역서로 『인디언의 바다 - 북서태평양 원주민의 영혼이 깃든 고기잡이』가 있다. 어린이를 위해 쓴 책으로 『조선 사람 표류기』,『주강현의 우리 문화 1ㆍ2』, 『강치야 독도야 동해바다야』, 『주강현의 제주도 이야기』, 『명태를 찾습니다』가 있다.